Rejoignez-nous pour un voyage dans le monde des livres!
Ajouter ce livre à l'électronique
Grey
Ecrivez un nouveau commentaire Default profile 50px
Grey
Abonnez-vous pour lire le livre complet ou lisez les premières pages gratuitement!
All characters reduced
붉은 산 - 차 한 잔 문학 한 모금 - cover

붉은 산 - 차 한 잔 문학 한 모금

김 김수경

Maison d'édition: 책보요여

  • 0
  • 0
  • 0

Synopsis

「붉은 산」은 1932년 『삼천리』에 발표한 김동인의 단편소설이다. 민족의식을 자연주의적 경향으로 쓴 것으로, 일제강점기에 수난받는 민족과 조국에 대한 작가의 애정이 잘 나타난 역작이다. 

 작품 맛보기

서술자인 ‘나’가 의학 연구차 만주를 순회하던 중 가난한 한국 소작인들이 모여 사는 마을에서 ‘삵’이라는 별명을 가진 정익호를 만나게 된다. 그는 투전과 싸움으로 이름난 마을의 골칫덩이요 망나니였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은 그를 꺼려했으며, 사람이 죽으면 “삵이나 죽지.” 할 정도로 그를 미워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삵의 마음을 움직이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한다.

 작품 속으로

그의 장기(長技)는 투전이 일쑤며, 싸움 잘하고, 트집 잘 잡고, 칼부림 잘하고, 색시에게 덤벼들기 잘하는 것이라 한다.
생김생김이 벌써 남에게 미움을 사게 되었고, 거기다 하는 행동조차 변변치 못한 일만이라, ××촌에서도 아무도 그를 대척하는 사람이 없었다. 사람들은 모두 그를 피하였다. 

김동인(金東仁) 

호는 금동(琴童)·춘사(春士)이다.

1900년 10월 2일 평양의 갑부 가정에서 태어나 어린나이에 일본에 유학하여 수학했다. 1919년 을 발표해 등단하였고, 1919년 2월 주요한·전영택 등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순문예동인지 를 창간하였다. 

처녀작 (1919. 2)을 비롯해 (1921. 5) 등을 발표했다. 1924년 8월 의 후신격이라 할 수 있는 를 창간했다. 1920~30년대를 거치면서 다양한 문예사조의 작품들을 발표하면서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자연주의 계열에 속하는 ·· 등과, 유미주의 계열에 속하는 ·, 민족주의 계열에 속하는 , ·과 같은 역사소설 등 많은 작품들이 있다.
Disponible depuis: 01/04/2019.
Longueur d'impression: 25 pages.

D'autres livres qui pourraient vous intéresser

  • 콩나무가 남겨준 것 - cover

    콩나무가 남겨준 것

    얀 레티

    • 0
    • 0
    • 0
    잭의 마당에 거대한 콩나무가 자랐습니다. 
    콩나무가 자란 후 마을은 변했고 사람들도 변해갔습니다. 
    그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난 것일까요?
    Voir livre
  • 채롱 - cover

    채롱

    용봉 강

    • 0
    • 0
    • 0
    우거진 여름나무 그림자가 아니라 잎이 떨어지고 가지만이 앙상하게 남은 겨울나무의 그림자라는 것을 사람들은 그다지 생각해본 적이 없을 듯하다. 우거진 나무 그림자라는 것은 으슥한 낮잠의 터는 되어도 겨울나무 그림자의 외롭고 아름다움은 없다. 겨울나무가 푸른 그림자를 처녀설(處女雪)의 흰 막 우에 던지고 있는 그림은 쓸쓸하면서도 깨끗하고 아름다운 것이다.
    Voir livre
  • 감자 - 차 한 잔 문학 한 모금 - cover

    감자 - 차 한 잔 문학 한 모금

    김 김수경

    • 0
    • 0
    • 0
    환경적 요인이 인간 내면의 도덕적 본질을 타락시킨다는 자연주의적인 색채가 가장 잘 드러난 김동인의 대표작, !
    
    \"복녀는 가난하긴 해도 정직한 농가에서 바르게 자란 처녀였다. 그러나 돈에 팔려서 만난 게으른 남편 때문에 극빈에 시달리고, 결국 빈민층이 사는 칠성문 밖으로 나온다. 처음에는 구걸과 허드렛일로 생계를 이어갔으나 그마저도 한계에 부딪힌다. 어느날 송충이 잡는 일에 참여했다가 감독의 유혹에 빠지면서 복녀는 점점 다른 사람으로 변해 간다.\"
    
    1925년 《조선문단》에 발표된 〈감자〉는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단편소설이다. 가난하나마 정직한 농가에서 성장한 여주인공 복녀가 도덕적으로 타락해 가는 과정을 그리면서, 인간의 본능과 동물적인 추악한 면을 분석하고 현실을 폭로한 자연주의 경향의 작품이다. 환경과 금전의 중요성을 내세운 는 유전의 중요성을 강조한 〈광염소나타〉와 좋은 대조를 이룬다. 1920년대에 문학을 배경으로 사회운동을 했던 신경향파의 작품들과도 비슷한 면이 있는데, 이는 그 시대의 한 특징이기도 했다.
    
    김동인(金東仁) 
    
    호는 금동(琴童)·춘사(春士)이다.
    
    1900년 10월 2일 평양의 갑부 가정에서 태어나 어린나이에 일본에 유학하여 수학했다. 1919년 을 발표해 등단하였고, 1919년 2월 주요한·전영택 등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순문예동인지 를 창간하였다. 
    
    처녀작 (1919. 2)을 비롯해 (1921. 5) 등을 발표했다. 1924년 8월 의 후신격이라 할 수 있는 를 창간했다. 1920~30년대를 거치면서 다양한 문예사조의 작품들을 발표하면서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자연주의 계열에 속하는 ·· 등과, 유미주의 계열에 속하는 ·, 민족주의 계열에 속하는 , ·과 같은 역사소설 등 많은 작품들이 있다.
    
    그의 소설은 한국 문단이 이광수의 계몽주의적 성향에서 벗어나, 문학의 예술성과 독자성을 제시하고 있다. 빈곤과 불면증, 약물중독으로 고통받다가 1951년 1·4후퇴 때 가족들이 피난간 사이에 죽었다. 1955년 사상계사에서 \'동인문학상\'을 제정·시행했으나, 1979년부터 조선일보사에서 시상하고 있다.
    Voir livre
  • 할머니의 죽음 - cover

    할머니의 죽음

    현 진건

    • 0
    • 0
    • 0
    1923년 에 발표된 현진건의 단편소설이다. 할머니의 임종을 둘러싸고 모여든 가족들의 심리를 날카롭게 포착한 매우 특이한 상황소설이다. 죽음을 거부하려는 할머니의 허망한 몸짓과 이를 지켜 보는 가족들의 이기적이고 작위적인 행동을 통해 인간의 부끄러운 모습을 실감나게 드러낸다.
    
    \"3월 그믐날 \'나\'는 시골 본가로부터 \'조모주 병환 위독\'이라는 전보를 받고 급히 시골로 내려간다. 곡성이 들릴 듯한 사립문을 들어서니 할머니의 병세는 이미 악화되어 있었다. 여든을 둘이나 넘은 할머니는 연로한 탓에 작년 봄부터 기운이 쇠잔하여 가끔 가물가물했었다. 멀리 떠나 있는 친척들이 모두 모여 긴장된 며칠을 보내는 가운데 집안에서 효부로 알려진 중모(仲母)는 연일 밤세워 할머니를 간호하며 기운을 빨리 회복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염불을 왼다. 그런 와중에 할머니는 정신이 흐릿해져 자손들로부터 웃음거리가 된다. 할머니가 겪는 고통과는 달리 빨리 끝장 나기를 은근히 바라는 자손들은 직장때문에 무작정 눌러 있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급기야 한의와 양의를 불러 할머니의 상태를 확인하기에 이른다.\"
    
    현진건 (玄鎭健. 1900~1943)
    
    소설가. 호는 빙허(憑虛). 경북 대구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시를 썼으나 뒤에 소설로 전향했다. 연극인인 당숙 현희운 의 소개로 「희생화」를 1920년 지에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왔다. 이후 「빈처」로 소설가로서의 입지를 다졌고 이어 「술 권하는 사회」, 「운수 좋은 날」등의 걸작들을 발표해 염상섭, 김동인 등과 함께 초기 사실주의 문학의 확립자로서 그 위치를 굳혔다. 
    
    주요 작품으로 「술 권하는 사회」, 「빈처」, 「할머니의 죽음 」, 「적도 」, 「운수 좋은 날」, 「무영탑 」, 「흑치상지 」 등이 있다.
    Voir livre
  • 정글 실험 - cover

    정글 실험

    얀 레티

    • 0
    • 0
    • 0
    타잔 그리고 정글북의 어린 모글리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모글리의 실체는 무엇이고 타잔은 어떻게 동물들과 의사소통을 했던 것일까요? 이에 대해 연구를 진행한 교수가 있었습니다. 이 교수는 어떤 사람인지 무슨 연구를 했는지 알아볼까요?
    Voir livre
  • 만무방 - 차 한 잔 문학 한 모금 - cover

    만무방 - 차 한 잔 문학 한 모금

    로 유진

    • 0
    • 0
    • 0
    「만무방」은 1935년 7월 17일부터 7월 31일까지 『조선일보』에 연재된 김유정의 단편소설이다. 응칠과 응오 형제의 아이러니한 상황을 통해 구조적 모순으로 점철된 식민지 농촌 사회에서 착취당하고 소외당하는 농민의 삶을 비판적으로 그리고 있다. 
    
    작품 맛보기
    
    응칠은 아내와 헤어지고 파산을 선언하고 도박과 절도로 전전하며 동생 응오의 동네에서 무위도식하고 있다. 응오는 반송장이 된 아픈 아내와 사는 순박하고 성실하지만 지주의 가혹한 착취 때문에 벼 추수하기를 거부한다. 그런데 응칠은 동생 응오의 벼가 도둑질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응칠은 마을 사람들이 전과자인 자신을 의심할 것을 알고 도둑을 잡으려고 한다.
    
    작품 속으로
    
    응칠이는 그 속으로 들어서며 무서운 눈으로 좌중을 한번 훑어보았다.
    그런데 재성이도 그 틈에 끼여 있는 것이 아닌가. 사날 전만 해도 응칠이더러 먹을 양식이 없으니 돈 좀 취하라던 놈이 의심이 부썩 일었다. 도둑이란 흔히 이런 노름판에서 씨가 퍼진다. 그 옆으로 기호도 앉았다. 이놈은 며칠 전 제 계집을 팔았다. 그 돈으로 영동 가서 장사를 하겠다던 놈이 노름을 왔다. 제깐 주제에 딸 듯싶은가. 하나는 용구. 농사엔 힘 안 쓰고 노름에 몸이 달았다. 시키는 부역도 안 나온다고 동리에서 손도를 맞을 놈이다. 그리고 남의 집 머슴녀석. 뽐을 내고 멋없이 점잔을 피우는 중늙은이 상투쟁이, 이 물건은 어서 날아왔는지 보지도 못하던 놈이다. 체 이것들이 뭘 한다구!
    
    
    김유정(金裕貞, 1908∼1937)
    
    본관은 청풍(淸風)이고 강원도 춘천 출신이다. 아버지 김춘식(金春植)과 어머니 청송심씨의 8남매 중 막내이다.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난 김유정은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고향을 떠났다. 12세 때 서울 재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29년에 휘문고등보통학교를 마치고 이듬해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진학했으나 중퇴하였다. 1932년에는 고향 실레마을에 금병의숙(錦屛義塾)을 세워 문맹퇴치운동을 벌였으며, 한때 금광에 손을 대기도 하였다.
    
    1935년 단편소설 「소낙비」가 『조선일보』에, 「노다지」가 『중앙일보』의 신춘문예에 각각 당선되어 문단에 올랐다. 그뒤 후기 구인회(九人會)의 일원으로 김문집(金文輯)·이상(李箱) 등과 교분을 가지면서 창작활동을 하였다. 김유정은 불과 2년 남짓 작가로 활동하면서 30편 내외의 단편과 1편의 미완성 장편, 그리고 1편의 번역소설을 남길 만큼 왕성한 창작의욕을 보였다. 하지만 폐결핵에 걸려 1937년 3월 30세 일기로 생을 마감한다.
    Voir livre